신동엽의 재치있고 유들유들한 말솜씨는 계수 일간의 유연한 모습에 강한 식상의 힘이 더해져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자기 표현을 잘하며 그 힘으로 일을 활발히 벌여나갈 수 있겠습니다. 인성의 힘이 강해 의존적인 모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주를 확인해야 알 수 있겠지만 재성과 관성의 힘은 상대적으로 약할 것으로 보여져 벌이는 일에 비해 결실이 약할 수 있고 조직과의 연도 강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운을 보면, 현재 을유 대운 안에 있습니다. 을목은 식상(식신), 유금은 인성(편인)입니다. 유금의 경우 시지에 합이 되는 글자가 오지 않는다면 그대로 들어옵니다. 을목의 힘이 강한 시기에는 식상의 힘이 커지면서 일을 많이 벌일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구설수에 오르는 일도 잦을 수 있습니다. 현재는 유금의 힘이 강한 시기인데, 자신을 돕는 세력이 생기면서 힘을 보태줄 수 있지만 그로 인해 의존성이 강화될 수도 있겠습니다.
세운(2021년)을 보면, 신축년에서 신금은 인성(편인), 축토는 관성(편관)입니다. 축토의 경우 시지에 합이나 충이 되는 글자가 오는가에 따라 세력이 달라질 수 있는데, 충이 되는 글자가 오지 않는다면 유축반합을 하여 금 세력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올해는 금 인성이 강하게 들어오는 시기기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금의 세력이 비대해지면서 인다신약의 모습을 띌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변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면서 자신의 욕망을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되고 자기 중심성이 흔들릴 수 있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동엽의 사주를 각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 사주의 온도 시주를 알 수 없어 정확한 온도감을 알기는 어렵지만 월지에 인목이 왔으니 아직 춥기는 하지만 봄기운이 느껴지기 시작하는 계절에 태어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금과 수의 세력이 강하게 들어와 있어 전체적으로 차가운 느낌이 강합니다.
- 간지음양 시주를 제외하면, 연주와 일주는 음의 기둥이고 월주는 양의 기둥입니다. 자신의 에너지를 적절하게 조절하거나 수렴하는 방향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간 계수입니다. 계수는 작은 물입니다. 조용히 흐르는 시냇물에 비유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시냇물의 특성을 닮아 조용하면서도 속이 투명한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의 속성답게 유연함도 가지고 있습니다. 음의 기운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안으로 돌려 침잠하거나 스며드는 습성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습성이 강해지다 보면 무거워지고 우울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 오행의 세력 시주를 제외하면, 목이 1개, 화와 토는 없고, 금이 3개, 수가 2개 있습니다. 목은 하나의 세력이지만 월지를 차지하고 있고 수의 생조를 받으면서 그 특성이 잘 나타나겠습니다. 금은 천간의 세력들이 일지에 뿌리를 내리면서 발달되어 있습니다. 수 역시 금의 생조를 받으며 그 특성을 잘 드러내겠습니다. 목의 경우 인목 지장간에 암장되어 있고 토는 인목과 해수의 지장간에 암장되어 있는데 시주를 알아야 정확한 세력 파악이 가능하겠습니다.
- 합과 충 시주를 제외하고 보면, 천간에는 합과 충이 없습니다. 지지에는 인해합이 일어나고 충은 없습니다. 시지에 인목이나 해수와 충이 되는 글자가 오지 않는다면 인해합으로 해수가 목 세력으로 바뀝니다.
- 십신(육친) 시주를 제외하면, 비겁이 1개, 식상이 1개, 재성과 관성은 없고, 인성이 3개 있습니다. 인해합으로 해수가 목으로 바뀌면 식상의 힘이 강해지게 됩니다. 강한 인성의 힘이 약한 비겁을 생조하면서 중심을 잡아주겠고, 자신의 욕망을 말을 통해 드러내고 표현하는 것을 잘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관심 있는 일을 잘 벌이는 모습도 보이겠습니다. 표현을 잘하고 일을 잘 벌이는 능력이 마무리 하는 것과 조직과의 연을 맺는 것까지 이어지는 지는 시주를 확인해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겠지만 상대적으로 그 기운은 약할 것으로 보입니다. 관계를 보면, 일단 주변에 자신을 돕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성운과 자식운은 시주를 모르기 때문에 정확히 알기는 어려우나 강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운을 보면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와 강한 연을 맺을 것으로 보입니다.
- 용신
금 인성의 강한 기운을 설기시켜주면서 차가운 온도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화를 용신, 목을 희신으로 삼는 게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