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을(乙)'이 들어가는 을축, 을묘, 을사, 을미, 을유, 을해 일주입니다.

1. 을축(乙丑)
>십신: 편재
>십이운성: 쇠
을축 일주는 외로운 기운이다. 외관은 온화하고 온순해 보이지만 의외로 자기주장과 입장이 명확하고 합리적인 성격이다. 남을 설득하기 좋은 위치, 인정받고 사랑받는 자리로 쉽게 간다. 유명한 사람들 중에서 자주 만나는 기운이며, 은근히 고집이 세고 사람을 가려 사귀어 통이 크지 않다. 을축은 시야가 좁다는 약점이 있다.
2. 을묘(乙卯)
>십신: 비견
>십이운성: 건록
을묘 일주는 을목과 묘목이 만났다. 짝이 되는 갑인과는 완전히 다르다. 을묘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면에서는 갑인의 요소를 갖고 있지만 을목 중에서 의외로 인정과 눈물이 많은 착한 성정이고, 약자에 대한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결실이 미약하다. 음의 기운치고 지구력이 약해서 큰 성과로 가기에는 약한 힘이기 때문이다. 을묘는 겉으로만 보고 판단하면 완전히 잘못 볼 수도 있으므로 매우 섬세한 판단이 요구된다.
3. 을사(乙巳)
>십신: 상관
>십이운성: 목욕
을사 일주는 섬세하다. 과거에 많은 책에서 상관 일주라 해서 을사를 무척 나쁘게 썼다. 하지만 을사는 귀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을사야말로 을목 중에서 상상력이 풍부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집행하는 능력을 두루 갖춘 보기 드문 양수겸장의 힘이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알찬 소규모 팀의 리더가 많다. 기획력과 실행력이라는 양날의 검을 지니고 있는데, 문제는 결정적 순간에 뒷심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감정 기복이 심해서 우울증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남들은 아무렇지 않은데 내면적인 문제로 힘들어하고 자기 스스로 고립시키는 일을 조심해야 한다.
4. 을미(乙未)
>십신: 편재
>십이운성: 양
을미 일주는 을목 중에서 가장 박학다식하면서 부드러운 성품이다. 남을 잘 이해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감추려 해서 오해를 산다. 무슨 복심이나 음모가 있어서가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는 데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랑할 만한 게 없다고 생각해서 자꾸 숨기는 것이다. 하지만 그 감추려는 모습 때문에 엉큼하다거나 뒤통수를 친다는 식의 오해를 받기도 한다. 그래서 을미 일주인 사람들은 의외로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주변에 을미 일주인 사람이 그런 일로 힘들어한다면 좀 더 자신을 드러내는 데 자신감을 가지도록 이야기해주는 것이 좋다. 본인 또한 자신을 충분히 내보여야 신뢰를 얻을 수 있음을 기억하고 노력해야 한다.
5. 을유(乙酉)
>십신: 편관
>십이운성: 절
을유 일주는 을묘보다 강한 힘이다. 을목 중에서 가장 추진력이 강하고 성격이 선명하다. 을유 일주들은 머리가 비상하고 재주도 뛰어나며 감각도 풍부한 단정한 사람이다. 하지만 자기에게나 타인에게나 높은 기준을 적용하는 바람에 남을 무시하거나 배려하지 못하는 편이고, 그래서 악의는 없지만 주변에 상처를 입는 사람이 많다. 을유의 기운을 가진 사람은 자기가 통상적인 사람보다 높은 기준을 갖고 있지 않은지 계속 검증해봐야 한다. 또 을유는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만큼의 결실, 특히 성공을 거두지 못하면 스스로 괴롭히는 경향이 있다. 강한 힘이지만 그래서 약간 무섭다.
6. 을해(乙亥)
>십신: 정인
>십이운성: 사
을해 일주는 전쟁이 나도 혼자 살아남는다고 한다. 그만큼 재수가 좋은 간지에 해당한다. 을해는 기본적으로 감각이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고상한 취향과 마음씨를 가졌다. 폭은 좁지만 하나를 선택하면 몰두하는 경향이 장점이자 약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야가 넓지 못하다. 또한 을해는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강하고 투쟁성이 약해 싸워서 얻어내기보다 지레 포기하고 만다.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을(乙)'이 들어가는 을축, 을묘, 을사, 을미, 을유, 을해 일주입니다.
1. 을축(乙丑)
>십신: 편재
>십이운성: 쇠
을축 일주는 외로운 기운이다. 외관은 온화하고 온순해 보이지만 의외로 자기주장과 입장이 명확하고 합리적인 성격이다. 남을 설득하기 좋은 위치, 인정받고 사랑받는 자리로 쉽게 간다. 유명한 사람들 중에서 자주 만나는 기운이며, 은근히 고집이 세고 사람을 가려 사귀어 통이 크지 않다. 을축은 시야가 좁다는 약점이 있다.
2. 을묘(乙卯)
>십신: 비견
>십이운성: 건록
을묘 일주는 을목과 묘목이 만났다. 짝이 되는 갑인과는 완전히 다르다. 을묘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면에서는 갑인의 요소를 갖고 있지만 을목 중에서 의외로 인정과 눈물이 많은 착한 성정이고, 약자에 대한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결실이 미약하다. 음의 기운치고 지구력이 약해서 큰 성과로 가기에는 약한 힘이기 때문이다. 을묘는 겉으로만 보고 판단하면 완전히 잘못 볼 수도 있으므로 매우 섬세한 판단이 요구된다.
3. 을사(乙巳)
>십신: 상관
>십이운성: 목욕
을사 일주는 섬세하다. 과거에 많은 책에서 상관 일주라 해서 을사를 무척 나쁘게 썼다. 하지만 을사는 귀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을사야말로 을목 중에서 상상력이 풍부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집행하는 능력을 두루 갖춘 보기 드문 양수겸장의 힘이다. 큰 규모는 아니지만 알찬 소규모 팀의 리더가 많다. 기획력과 실행력이라는 양날의 검을 지니고 있는데, 문제는 결정적 순간에 뒷심이 부족하고 무엇보다 감정 기복이 심해서 우울증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남들은 아무렇지 않은데 내면적인 문제로 힘들어하고 자기 스스로 고립시키는 일을 조심해야 한다.
4. 을미(乙未)
>십신: 편재
>십이운성: 양
을미 일주는 을목 중에서 가장 박학다식하면서 부드러운 성품이다. 남을 잘 이해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감추려 해서 오해를 산다. 무슨 복심이나 음모가 있어서가 아니라, 자신을 드러내는 데 부끄러움을 느끼고 자랑할 만한 게 없다고 생각해서 자꾸 숨기는 것이다. 하지만 그 감추려는 모습 때문에 엉큼하다거나 뒤통수를 친다는 식의 오해를 받기도 한다. 그래서 을미 일주인 사람들은 의외로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주변에 을미 일주인 사람이 그런 일로 힘들어한다면 좀 더 자신을 드러내는 데 자신감을 가지도록 이야기해주는 것이 좋다. 본인 또한 자신을 충분히 내보여야 신뢰를 얻을 수 있음을 기억하고 노력해야 한다.
5. 을유(乙酉)
>십신: 편관
>십이운성: 절
을유 일주는 을묘보다 강한 힘이다. 을목 중에서 가장 추진력이 강하고 성격이 선명하다. 을유 일주들은 머리가 비상하고 재주도 뛰어나며 감각도 풍부한 단정한 사람이다. 하지만 자기에게나 타인에게나 높은 기준을 적용하는 바람에 남을 무시하거나 배려하지 못하는 편이고, 그래서 악의는 없지만 주변에 상처를 입는 사람이 많다. 을유의 기운을 가진 사람은 자기가 통상적인 사람보다 높은 기준을 갖고 있지 않은지 계속 검증해봐야 한다. 또 을유는 자신이 생각하는 기준만큼의 결실, 특히 성공을 거두지 못하면 스스로 괴롭히는 경향이 있다. 강한 힘이지만 그래서 약간 무섭다.
6. 을해(乙亥)
>십신: 정인
>십이운성: 사
을해 일주는 전쟁이 나도 혼자 살아남는다고 한다. 그만큼 재수가 좋은 간지에 해당한다. 을해는 기본적으로 감각이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고상한 취향과 마음씨를 가졌다. 폭은 좁지만 하나를 선택하면 몰두하는 경향이 장점이자 약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야가 넓지 못하다. 또한 을해는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강하고 투쟁성이 약해 싸워서 얻어내기보다 지레 포기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