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이론/일주 천의성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계(癸)'가 들어가는 계축, 계묘, 계사, 계미, 계유, 계해 일주입니다. 1. 계축(癸丑) >십신: 편관>십이운성: 관대 계축 일주는 외관상 조용하고 믿음직스러운데 의외로 칭찬받기를 좋아한다. 조용하지만 강한 성품으로, 겉모습과 달리 추진력과 용기가 있어서 한번 시작하면 남에게 뒤처지기를 싫어한다. 그 때문에 자기를 극한으로 몰아붙이는 면이 있어, 성패와 파란의 진폭이 크다. 2. 계묘(癸卯) >십신: 식신>십이운성: 장생 계묘 일주는 지지에 천을귀인을 만나 일귀라고도 한다. 계묘는 더불어 사는 것을 근본으로 생각하는 유형이다. 스스로 이타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공익적인 가치를 높이 평가한다. 재주 많고 능력도 있지만 정작 자신은 스스로를 ..
더 읽기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임(壬)'자가 들어가는 임자, 임인, 임진, 임오, 임신, 임술 일주입니다. 1. 임자(壬子) >십신: 겁재>십이운성: 제왕 임자 일주는 매사에 의욕적이고 진취적인 기품이 있으며 속이 깊고 과묵하다. 간지가 모두 수(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상력이 풍부하고 색욕이 강하다. 논리정연하고 통솔력과 포용력도 있지만, 화를 내면 절제가 되지 않은 것이 단점이다. 2. 임인(壬寅) >십신: 식신>십이운성: 병 임인 일주는 머리가 좋고 언변이 좋아 꾸준히 발전하는 스타일로 은근히 박력도 있으나, 우유부단함 때문에 일을 그르치곤 한다. 3. 임진(壬辰) >십신: 편관>십이운성: 묘 임진 일주는 괴강에 해당한다. 솔직 담백하고 자신감 넘치고 언변이 좋고 주관..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신(辛)'이 들어가는 신축, 신묘, 신사, 신미, 신유, 신해 일주입니다. 1. 신축(辛丑) >십신: 편인>십이운성: 양 신축 일주는 지혜와 지모가 뛰어나고 손재주가 정밀하다. 요행을 바라지 않는 성실파다. 예리한 신금이 두툼한 축토를 만났는데, 축토는 신금이 싫어하는 음토지만 지장간에 신금이 반기는 계수(癸)가 있다. 즉 간지의 조응이 부자연스럽다. 그래서 신축은 똑똑하고 재주도 좋고 우직함까지 있는데 노력만큼 성과가 따르지 않아 좌절감을 느끼곤 한다. 2. 신묘(辛卯) >십신: 편재>십이운성: 절 신묘 일주는 꼼꼼하고 알뜰한 성격으로 평범하고 소박한 데서 행복을 추구한다. 예리하고 튀는 신금이 편재인 묘목을 만나 본래의 성질이 무뎌진 느낌이다..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경(庚)'이 들어가는 경자, 경인, 경진, 경오, 경신, 경술 일주입니다. 1. 경자(庚子) >십신: 상관>십이운성: 사 경자 일주는 재주가 많고 총명해 기획력과 아이디어 감각이 좋다. 언어능력이 발달해 말도 재미있게 잘하고 자기 표현력도 뛰어나지만,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고집도 세다. 2. 경인(庚寅) >십신: 편재>십이운성: 절 경인 일주는 긍정적이고 생활력이 강하며, 치밀하면서도 추진력 있고 공명심이 있어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공헌도가 높다. 모든 일에 늘 신경을 쓰지만 경쟁하진 않는다. 경인은 인간관계든 프로젝트든 마무리에 약하고 자신의 리더십에 회의가 있다. 원했으면서도 정작 권력을 안겨주면 잘못되면 어떡하나 걱정하는 우유부단함을 ..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기(己)'가 들어가는 기축, 기묘, 기사, 기미, 기유, 기해 일주입니다. 1. 기축(己丑) >십신: 비견>십이운성: 관대 기축 일주는 고집이 세고, 외관상 말이 별로 없고 수줍음을 타는 것 같지만 한번 말문이 열리면 아무도 걷잡을 수 없다. 일이 주어지면 완벽하고 확실하게 끝내려는 의지와 끈기가 강하다. 기축은 대기만성형으로 뒤늦게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가장 기토스러운 일주다. 2. 기묘(己卯) >십신: 편관>십이운성: 장생 기묘 일주는 마음이 넓고 겉으로는 호탕하고 시원시원한 느낌이 있다. 가족에 대한 관심과 애착이 크다. 특별한 것, 무언가 큰 성취를 이루고 싶어 하기보다 평범한 시민으로서의 가치를 소중히 생각한다. 하지만 끈기가 부족하고..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무(戊)'가 들어가는 무자, 무인, 무진, 무오, 무신, 무술 일주입니다. 1. 무자(戊子) >십신: 정재>십이운성: 제왕 무자 일주는 말과 행동이 신중하며 매사에 원칙이 분명하고 합리적이다. 언행일치와 자기가 한 말에 책임을 지는 신중함이 있다. 원칙적인 사람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자기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일에는 개입을 피하기 때문에 인색하다는 평가와 잔꾀를 잘 부린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2. 무인(戊寅) >십신: 편관>십이운성: 병 무인 일주는 열혈적인 성격이 강해 자신의 원칙을 강력하게 주장하며 앞장서서 추진하는 스타일이다. 그러면서도 신의를 중시하고 독립적인 의지와 자유로움을 추구한다. 무인이 강한 사람들은..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정(丁)'이 들어가는 정축, 정묘, 정사, 정미, 정유, 정해 일주입니다. 1. 정축(丁丑) >십신: 식신>십이운성: 묘 정축 일주는 섬세하고 오밀조밀하고 지혜로우며 침착하다. 정축이 있으면 분위기가 안정적이 된다. 대인 관계가 모난 데 없이 원만하지만 자기주장이 명확하고, 겉으로는 온유하게 보여도 성격이 급해 성급한 판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소소한 것들에 대한 대처 능력이 뛰어난 데 비해, 자기 인생을 걸 만한 일, 혹은 많은 사람의 이해관계가 달린 일을 결정한다든지 할 때 어긋나는 판단을 해서 손해를 입고 대세를 그르치는 경우가 있다. 식신과 묘의 만남이라 큰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이나 희생을 전제로 하는 모험과는 거리가 멀다. 정축은 본능적..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병(丙)'이 들어가는 병자, 병인, 병진, 병오, 병신, 병술 일주입니다. 1. 병자(丙子) >십신: 정관>십이운성: 태 병자 일주는 진취적이고 솔직 담백한 기운으로, 항상 새로운 질서를 추구하면서도 의지가 강하다. 하지만 가까운 사람에게 도움받는 것을 병적으로 싫어해 사회성에 문제가 된다. 자신에게 호의적인 사람에게 도움을 받으면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일을 혼자 끙끙거리다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2. 병인(丙寅) >십신: 편인>십이운성: 장생 병인 일주는 밝고 화려한 것을 선호하고 원대한 포부와 이상을 갖고 있다. 병인은 비즈니스 역마에 해당하는데 주로 무역 사업을 화려하게 휘젓고 다니는 것을 폼 나게 생각한다. 옷차림에 신경 쓰고 사치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