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이론/일주 천의성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정(丁)'이 들어가는 정축, 정묘, 정사, 정미, 정유, 정해 일주입니다. 1. 정축(丁丑) >십신: 식신>십이운성: 묘 정축 일주는 섬세하고 오밀조밀하고 지혜로우며 침착하다. 정축이 있으면 분위기가 안정적이 된다. 대인 관계가 모난 데 없이 원만하지만 자기주장이 명확하고, 겉으로는 온유하게 보여도 성격이 급해 성급한 판단을 하는 경우가 많다. 소소한 것들에 대한 대처 능력이 뛰어난 데 비해, 자기 인생을 걸 만한 일, 혹은 많은 사람의 이해관계가 달린 일을 결정한다든지 할 때 어긋나는 판단을 해서 손해를 입고 대세를 그르치는 경우가 있다. 식신과 묘의 만남이라 큰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이나 희생을 전제로 하는 모험과는 거리가 멀다. 정축은 본능적..
더 읽기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병(丙)'이 들어가는 병자, 병인, 병진, 병오, 병신, 병술 일주입니다. 1. 병자(丙子) >십신: 정관>십이운성: 태 병자 일주는 진취적이고 솔직 담백한 기운으로, 항상 새로운 질서를 추구하면서도 의지가 강하다. 하지만 가까운 사람에게 도움받는 것을 병적으로 싫어해 사회성에 문제가 된다. 자신에게 호의적인 사람에게 도움을 받으면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일을 혼자 끙끙거리다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2. 병인(丙寅) >십신: 편인>십이운성: 장생 병인 일주는 밝고 화려한 것을 선호하고 원대한 포부와 이상을 갖고 있다. 병인은 비즈니스 역마에 해당하는데 주로 무역 사업을 화려하게 휘젓고 다니는 것을 폼 나게 생각한다. 옷차림에 신경 쓰고 사치를..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 살펴볼 것은 천간에 '을(乙)'이 들어가는 을축, 을묘, 을사, 을미, 을유, 을해 일주입니다. 1. 을축(乙丑) >십신: 편재>십이운성: 쇠 을축 일주는 외로운 기운이다. 외관은 온화하고 온순해 보이지만 의외로 자기주장과 입장이 명확하고 합리적인 성격이다. 남을 설득하기 좋은 위치, 인정받고 사랑받는 자리로 쉽게 간다. 유명한 사람들 중에서 자주 만나는 기운이며, 은근히 고집이 세고 사람을 가려 사귀어 통이 크지 않다. 을축은 시야가 좁다는 약점이 있다. 2. 을묘(乙卯) >십신: 비견>십이운성: 건록 을묘 일주는 을목과 묘목이 만났다. 짝이 되는 갑인과는 완전히 다르다. 을묘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면에서는 갑인의 요소를 갖고 있지만 을목 중에서 의외로 인정과 눈물이..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부터는 일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첫번째로 살펴볼 것은 천간에 '갑(甲)'이 들어가는 갑자, 갑인, 갑진, 갑오, 갑신, 갑술 일주입니다.(참고로 천간과 지지는 같은 음양끼리 상응하기에 하나의 천간에 6개의 일주가 나오게 됩니다). 1. 갑자(甲子) >십신: 정인 >십이운성: 목욕 갑자 일주는 낙천적인 성격에 자신감과 자존심이 세고 인정이 많으며 마음이 넓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쉽게 절망하지 않고 당당하며, 웬만한 역경에는 굴하지도 굽히지도 않습니다. 갑자는 자수가 수(水)이고 정인이기 때문에 말과 행동 이전에 생각을 먼저 하고, 측은지심이 있습니다. 인성이 과다하지 않다는 전제하에 갑목의 정인인 자수는 자기의 자존심을 지키는 근거가 되므로 공과 사가 분명함으로 드러납..
사주이론/지지 천의성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는 지지의 '해수'를 알아보겠습니다. 해수(亥水)는 오행 중 수에 배속되고, 음양 중에는 양에 해당하여 양수가 됩니다. 키워드 하나. 돼지 > 은밀한 자기 세계 고사를 지낼 때 돼지머리를 놓는 이유는 돼지가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는 동물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돼지는 12지지에서 수에 배속이 되는데요. 물은 분별과 현실의 불의 세계와 반대되는 비분별적인 현실 너머의 세계로 표상됩니다. 돼지머리를 놓는 것은 현실과 그 너머의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연결한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돼지는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상징적 동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해수의 세계도 이중적입니다. 양수이기 때문에 임수처럼 밝고 넓은 관계를 유지하려 하면서도, 어느..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는 지지의 '술토'를 알아보겠습니다. 술토(戌土)는 오행 중 토에 배속되고, 음양 중에는 양에 해당하여 양토가 됩니다. 키워드 하나. 개 > 배회 개는 인간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사냥을 하고 썰매를 끌고 집을 지킵니다.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고 가족의 일원이 되어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인류학적으로 인간이 야생의 개를 억지로 잡아다 가축화시킨 것은 아닙니다. 개는 그저 자기 의지에 따라 인간 사회에 정착한 존재인 것입니다. 개의 선조인 야생 늑대가 멸종 위기에 처한 거에 비하면 인간의 거주지 내에 자리를 마련한 개는 진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다른 어떤 동물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다란 성공을 이루어 냈습니다. 술토의 성향은 개의 이런 습성과 비슷합니다. 늑대..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는 지지의 '유금'을 알아보겠습니다. 유금(酉金)은 오행 중 금에 배속되고, 음양 중에는 음에 해당하여 음금이 됩니다. 키워드 하나. 닭 > 직관력 닭은 새벽을 열고 사람들을 깨웁니다. 깨운다는 말은 영적이고 종교적인 직관적 깨달음의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유금은 이러한 닭의 구도적이고 종교적인 이미지를 닮았습니다. 유금은 상식적인 세계를 넘어서는 직관력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성적 논리에 앞서 몸의 반응이 먼저 일어나는 직감도 이 직관의 연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유금은 사람의 행동과 상황을 짧게 관찰하는 것만으로 무언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관적 이미지를 언어로 포착해 내는 능력도 뛰어나 시적 언어를 다루는 감각이 있습니다. 유금의 진단 능력은 의학에서..
나를 탐구하는 사주명리, 이번 시간에는 지지의 '신금'을 알아보겠습니다. 신금(申金)은 오행 중 금에 배속되고, 음양 중에는 양에 해당하여 양금이 됩니다. 키워드 하나. 원숭이 > 어두운 총기 신금은 영리하고 다재다능합니다. 원숭이의 재주와 비견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영리함과 재능으로 곧잘 자기를 망치는 일을 저지르기도 합니다. 조삼모사의 고사를 보면 원숭이는 자기 꾀에 속습니다. 신금의 재능과 지혜도 이런 오류에 빠질 수 있습니다. 재주는 총기에서 나오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재주는 쓸수록 총기를 어둡게 합니다. 재주는 다른 능력과 섞이려 하지 않습니다. 삶 전체를 위한 방편이 아니라 특정 능력을 돋보이게 하려는 욕망이 담겨 있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재주는 세상을 읽는 시야를 좁힙니다. 시야가 좁으면 마..